검색결과 11개
오피니언
기획특집
뉴스
-
장예총, 장애인문화예술축제 ‘A+Festival’ 버스킹 참가자 공모 [김현동]
한국장애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이하 장예총, 상임대표 배은주)이 오는 30일까지 ‘2023 장애인문화예술축제 A+ Festival’(이하 A+ Festival) 버스킹 프로그램 참가자를 공모한다.A+ Festival은 장애인들의 잠재적 가능성(Ability), 열린 접근성(Accessibility), 활기찬 역동성(Activity)을 모토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예술(Arts)로 함께(All Together)한다는 취지로 지난 2009년부터 시작한 국내 최대의 장애인문화예술축제다. 장예총이 주최하고, 2023장애인문화예술축제조직위원회가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후원한다.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하는 A+ Festival은 그동안 장애예술인에게 작품발표 기회를 제공하고 창작 의욕을...
Home > 뉴스
-
‘제7회 전국 발달장애인 음악축제 GMF’ 참가단체 모집 [김현동]
‘제7회 전국 발달장애인 음악축제 GREAT MUSIC FESTIVAL(GMF)’ 홍보 포스터.ⓒ하트-하트재단 하트-하트재단이 오는 5월 31일까지 ‘제7회 전국 발달장애인 음악축제 GREAT MUSIC FESTIVAL(GMF)’ 참가단체를 모집한다.하트-하트재단이 주최하고 SK이노베이션, 문화체육관광부,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이 후원하며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하는 이번 페스티벌은 9월 26일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강당에서 열린다.참가신청은 이메일로 가능하고, 신청서류는 하트-하트재단(http://www.heart-heart.org/) 공지사항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본선에 진출하는 팀은 클래식, 실용음악 분야의 전문가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통해 6월 말에 발표될 예정이다.본선진...
Home > 뉴스
-
저시력인·비장애인 어울림 축구단 ‘곰두리FC’ 본격 활동 [김현동]
저시력인 5명과 비장애인 7명으로 구성된 어울림축구단 ‘곰두리FC’가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서울곰두리체육센터 저시력인 5명과 비장애인 7명으로 구성된 어울림축구단 ‘곰두리FC’가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5년 전 저시력인 축구동호회로 시작한 곰두리FC는 매월 두 번째와 네 번째 토요일 오전 서울 ‘송파시각장애인축구장’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시각장애인 축구는 스포츠등급 분류에 따라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B1과 저시력 정도를 의료적으로 분류해 B2, B3로 구분된다.B1축구는 1팀 5명이 안전을 위해 사이드펜스를 갖춘 곳에서 소리 나는 공을 사용해 상대편 골대에 공을 넣는 방식이다. B2, B3 즉 저시력장애인 축구는 일반 풋살 경기규칙...
Home > 뉴스
-
춘천 1호 여자축구단, “FC챌린저” 창단식 열려 [지소현]
춘천 1호 여자축구단인 “FC챌린저(단장 최경희)” 창단식이 3월 12일(일) 춘천 공지천 A구장에서 열렸다. 20~40대 여성 직장인, 주부, 자영업자 등 20명으로 구성된 팀은 평일에는 실내풋살장(김민규 “강원FS” 대표이사 지원)과 주말에는 폴리텍대학에서 훈련에 돌입한다. 최경희 단장은 “춘천 1호 여성 축구팀인 만큼 대표 정신으로 무장해 열심히 뛰고 지역을 위해 봉사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관심 있는 여성들의 참여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축구 관계자는 향후 여자축구단이 늘어나면 리그전도 추진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창단식에는 허영 국회의원, 노용호 국회의원, 신경호 도교육감, 육동한 춘천시장, 박기영 도의원, 나유경·박남수 춘천시의원, 이강...
Home > 뉴스
-
장애인거주시설 평가 88.7점, 최하위 F등급 3.1% [김현동]
장애인거주시설 평가결과.ⓒ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장애인거주시설 559개소를 평가한 결과, 평균점수가 88.7점이며 최하위시설인 F등급의 비율은 3.1%로 조사됐다.보건복지부가 ‘사회복지사업’에 따라 사회복지시설 1885개소에 대해 지난 3년간(2019~2021) 시설 운영 및 서비스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복지부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이용·생활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1999년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등 10개 시설유형에 대해 3년 주기로 평가해왔다.이번 2022년 사회복지시설 평가대상은 사회복지관(280개소), 노인복지관(211개소), 아동생활시설(277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412개소), 장애인거주시설(559개소), 장애인단기거...
Home > 뉴스
포토뉴스